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요즘은 자신의 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시간 또한 할애하고 있습니다. 식습관의 변화와 운동을 통해 신체를 단련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습니다. 건강을 유지하고 체크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건강검진입니다. 자격이 됨에도 불구하고 수년 동안 한 번도 받지 않은 이들도 있을 텐데요. 건강검진 미수검 과태료 있을까요? 없을까요? 혹은 어떠한 불이익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조회하기

     

     

    먼저 자신이 건강검진 대상자인지 확인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1.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접속을 합니다. [홈페이지]

    2. 로그인(공동 인증서)을 합니다. 인증서 등록을 하지 않았다면 최초 1회만 등록하면 됩니다.

    3. 메인화면에서 [건강검진 대상 조회]를 선택합니다.

     

     

    일반검진, 암 검진

     

    건강검진은 일반 건강검진과 암 검진으로 구분됩니다.

     

    일반검진 대상자는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만 20세 이상 세대원과 피부양자, 만 19세~64세 의료급여 수급권자이며, 2년마다 1회, 비사무직은 매년 실시합니다.

     

     

     

    건강검진표를 수령하게 될 텐데요. 지역가입자, 직장 피부양자는 공단에서 우편발송을 해줍니다. 만약 검진표를 분실하거나 받지 못했을 경우 전화(1577-1000) 신청이나 가까운 지사에 연락을 하면 다시 받을 수 있습니다. 공단 홈페이지에서 출력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암 검진 연령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위암, 유방암(만 40세 이상)

    • 대장암(만 50세 이상)

    • 간암(간암 발생 고위험군 중 만 40세 이상)

    • 자궁경부암(만 20세 이상)

    • 폐암(폐암 발생 고위험군 중 만 54~74세)

    건강검진은 2년에 한 번 받을 수 있습니다. 초과 검진의 경우 검진비용이 환수됩니다.(직장 가입자 비사무직은 1년에 1회)

     

    건강검진 미수검 과태료

    우리는 2년에 한 번의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가에서 지원하는 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 과태료를 지불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직장인의 경우 사업주가 건강검진과 관련해 고지를 합니다. 이때 건강검진 미수검 시 과태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과태료 부과기준입니다.

    • 사업주의 경우 건강검진 대상 근로자 1 명당 5만 원(1차), 10만 원(2차), 15만 원(3차)

    • 근로자의 경우 5만 원(1차), 10만 원(2차), 15만 원(3차)

    정당한 이유 없이 건강검진을 받지 않을 경우에 과태료가 부과됨을 알아야 합니다. 

     

     

    과체중 체중조절 실패 요인 현실적인 이유 5가지

    겨드랑이 쥐젖 생기는 이유 제거방법

    반응형